谷歌浏览器插件
订阅小程序
在清言上使用

A Qualitative Case-Study on the Social Adaptation Concerning the North Korean Refugee Women’s Occupational life in South Korea

Myeonghee Kim,Soochan Choi,Boyoung Nam, Jeesoo Shin

Sahoe gwahag nonjib(2022)

引用 0|浏览0
暂无评分
摘要
본 연구의 목적은 여성 북한이탈주민의 직업생활을 통해 남한 사회적응의 의미를 분석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직업생활을 하고 있는 여성 북한이탈주민 8명을 선정하고 심층 면접을 시행하여 자료를 수집하는 질적 사례연구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총 5개의 영역으로 주제화하고, 10개의 범주군과 25개 하위 범주로 구조화하였다. 5개 주제는 ‘냉정한 현실의 벽과 마주함’, ‘직업 세계로의 도전과 적응’, ‘나를 견디게 하는 개인적 자원’, ‘나에게 절실한 사회적 자원’, ‘남한 사회적응의 의미’이다. 본 연구 결과에 근거하여 실천적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취업 진입 및 직업 유지를 위한 남북하나재단, 하나센터와 같은 공적 기관이나 민간기관들의 실효성 있는 직업교육 및 다양한 직업 현장 발굴과 취업 연계에 대한 역할이 중요하다. 둘째,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직업 현장 및 사회 전반에 나타나는 편견과 부정적인 인식을 개선하기 위한 공적인 기관들의 노력이 필요하다. 셋째, 여성 북한이탈주민들이 가진 인적자본 향상을 위한 교육 훈련이 진행되어야 한다. 넷째, 지역공동체에서 이들을 멘토링 해주고 함께 교류할 수 있는 지원이 활성화되어야 한다. 다섯째, 70%가 넘는 여성이라는 젠더적 특성에 맞는 정책을 합법화하고 세분화하여야 한다. 본 연구는 여성 북한이탈주민의 남한 사회적응 과정에서 경험하는 다양한 문제들을 직업생활 관점에서 분석하여 이에 대한 실천적 방안을 제시했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 또한, 남한 사회적응에 가장 중요한 직업생활 경험을 심층 면접을 통해 실제적인 사례를 담아냄으로써 향후 남한 사회적응을 지원하는 정책 수립과 제도적 개선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更多
查看译文
关键词
north korean refugee womens,social adaptation,occupational life,south korean,case-study
AI 理解论文
溯源树
样例
生成溯源树,研究论文发展脉络
Chat Paper
正在生成论文摘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