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궁내막암 환자에서 림프-혈관 침윤의 임상적 고찰

Won Sick Yoo, Jae Shik Hong,Sei Jin Park, Yong Soon Kwon,In Ho Lee,Tae Jin Kim,Ki Heon Lee, Jae Uk Shim, Jung Eun Mok,Kyung Taek Lim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2009)

引用 0|浏览3
暂无评分
摘要
목적: 본 연구에서는 림프-혈관 침윤이 자궁내막암 환자들에서 임상-조직학적 특징 및 임상 결과에 관해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했다. 연구 방법: 2000년 1월부터 2003년 12월까지 4년 동안 제일병원에서 자궁내막암으로 진단된 후 수술로 치료한 141명의 환자들의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모든 림프-혈관 침윤의 조직병리학적 소견들은 제일병원의 조직병리 전문의가 검토하였다. 림프-혈관 침윤이 임상-조직학적 특징과 임상결과에 미치는 영향을 림프-혈관 침범이 있는 환자군과 없는 환자군을 비교하여 분석하였다. 통계의 분석은 DBSTAT 4.0에 의해 실행되었다. 결과: 본 연구에서 림프-혈관 침윤이 있는 경우는 55명 (39%), 없는 경우는 86명 (61%)이었다. 림프-혈관 침윤이 있는 환자군 55명과 없는 환자군 86명을 비교하여 림프-혈관 침윤과 인구학적 요인들과의 상관 관계를 보면, 고령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또 림프-혈관 침윤과 다른 예후 인자들간의 상관관계를 보면, 수술 전 자궁경부세포진검사, 분화도, 자궁내막암의 크기, 자궁근층의 침윤 정도, 골반림프절 침윤, 대동맥 주변 림프절 침윤, 병기의 진행 정도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결론: 자궁내막암 환자에서 림프-혈관 침윤이 있는 환자들의 경우 일반적으로 종양 크기가 2 cm 이상인 경우가 많고, 자궁근층의 침윤 및 림프절 전이와 진행된 병기와 관련 있는 경우가 더 많다. 그러므로 자궁내막암의 적절한 처치에 있어 반드시 림프-혈관 침윤 여부를 고려해야 한다.
更多
查看译文
AI 理解论文
溯源树
样例
生成溯源树,研究论文发展脉络
Chat Paper
正在生成论文摘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