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Immediate Effects of Various Cue Numbers on Middle School Student’s Motor Skill Learning and Cognitive Information

HeeSu Mun, EunChang Kwak

Korean Journal of Sport Pedagogy(2018)

引用 0|浏览0
暂无评分
摘要
본 연구의 목적은 집단별 교수단서의 양적 조건이 중학생의 운동수행과 정보기억량에 즉각적으로 미치는 영향을 밝히는 데 있었다. 이를 위하여 H도시 B중학교 3학년 4개 학급에서 기본운동능력 검사를 통해 운동기능수행에 이상이 없는 100명의 학생(남: 41명, 여: 59명)을 연구대상자로 선정하였다. 실험집단은 교수단서를 3개 제공한 (A)집단, 교수단서를 5개 제공한 (B)집단, 교수단서를 7개 제공한 (C)집단과 통제집단(D)으로 구성하였다. 각 집단별 학생들은 자신에게 배정된 과제제시를 제공받은 직후 배드민턴 하이클리어 동작을 10회 수행하고 정보기억량을 측정하기 위해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집단 간의 동작수행과 정보기억량을 비교 분석하기 위하여 Separate Kruskal Wallis Test를 사용하였으며, 각 집단별 차이를 분석하기 위해 두 집단씩 Mann Whitney Test를 사용하여 비교하였다. 연구 결과, 배드민턴의 하이클리어 학습에서 학생의 기능향상은 교수단서의 양과 상관없이 단서를 제공받은 집단이 단서를 제공받지 못한 집단보다 효과적이었다. 구체적으로 교수단서의 개수에 따라 학생들의 동작수행과 정보기억량에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동작수행에 있어서는 교수단서를 5개 제공한 B집단이 가장 좋았으나, 정보기억량은 교수단서를 7개 제공한 C집단이 가장 좋았고, B집단이 다음으로 높은 정보기억량을 나타냈다. 본 연구에서 가장 효과적인 집단은 동작수행이 가장 높고, 정보기억량도 C집단과 근소한 차이인 B집단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적절한 교수단서의 양을 5개로 제공하는 것이 학생들의 동작수행능력과 정보기억량에 가장 효율적이라는 사실을 보여주고 있다. 추후 대상자 연령, 기능수준, 과제성격에 따른 차이는 여전히 명확히 밝혀진 바 없어 후속연구를 통해 밝혀져야 할 과제로 남아있다.
更多
查看译文
关键词
Student Interaction
AI 理解论文
溯源树
样例
生成溯源树,研究论文发展脉络
Chat Paper
正在生成论文摘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