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Case of Cholesterol Granuloma in the Nasal Septum

Korean Journal of Otorhin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2016)

引用 2|浏览7
暂无评分
摘要
74세 여자 환자로 뇌경색의 경과 관찰 중 반복하는 두통이 지속되어 시행한 자기공명촬영에서 우연히 약 1×1 cm 크기의 비중격 종괴가 발견되어 본과로 의뢰되었다. 환자는 천식, 협 심증, 뇌경색의 과거력이 있었으나 부비강 수술, 방사선치료, 두부외상의 병력은 없었다. 또한, 비출혈, 콧물, 코막힘의 증상 은 없었다. 부비강 내시경 검사에서 왼쪽 중 비갑개 전방 내측 으로 비중격이 융기되었고 우측도 약간 돌출되어 있었다(Fig. 1A). 양측 비중격 점막 손상이나 궤양 소견은 없었다. 또한, 비 강 내 화농성 분비물도 관찰되지 않았다. 전산화단층촬영에서 비중격 내부에 약 1×1 cm 크기의 저 음영에 조영증강 되지 않으며 주변이 석회화되어 있는 결절형 병변이 관찰되었다(Fig. 2). 자기공명촬영에서는 같은 부위에 T1 강조영상에서는 고 신 호, T2 강조영상에서는 저신호 음영이 있었으며 gadolinium 조영증강은 없었다(Fig. 3). 병변은 전신마취하에 비내시경을 이용한 비중격 접근법으로 제거하였다. 왼쪽 비강에 Killian 절개를 가한 후 점막 연골막 피판과 점막 골막 피판을 차례로 박리하였다. 비중격 점막과 연골, 골 사이에 유착되어있는 노 란색의 부드러운 낭 모양의 종괴를 관찰하였으며(Fig. 4A) 종 괴 주위로 사골수직판과 서골의 일부 결손을 확인하였다. 종 Case Report Korean J Otorhinolaryngol-Head Neck Surg 2016;59(1):49-52 / pISSN 2092-5859 / eISSN 2092-6529 http://dx.doi.org/10.3342/kjorl-hns.2016.59.1.49
更多
查看译文
AI 理解论文
溯源树
样例
生成溯源树,研究论文发展脉络
Chat Paper
正在生成论文摘要